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lutter 개발환경
- BottomNavigationBarItem label
- 스토어배포
- Flutter BottomNavigationBar
- flutter vs react
- GitHub blog
- flutter react 비교
- pub.dev
- BottomNavigationBarItem
- 플러터 코딩
- 플러터 코딩 지침
- anko library
- android arr
- BottomNavigationBar
- convert kotiln
- flutter 앱배포
- Java to Kotlin
- 깃허브 블로그
- Anko
- flutter 코딩 지침
- 코딩 치침
- 플러터 이슈
- instantiateItem
- 플러터
- BottomNavigationBarItem title
- 라이브러리 배포 파일
- flutter
- flutter 코딩
- 앱배포
- Kotlin
- Today
- Total
목록ANDROID (6)
mobile developer
메인화면에서 FragmentStatePagerAdapter 를 사용하였을 경우 폴드에서 화면을 열었거나 닫았을 때 또는 분할화면을 사용하였을 때 해당 Fragment 가 null 이 되는 현상을 발견하였습니다. 로그를 확인했을 때 폴드에서 화면을 열었거나 닫을 때 또는 분할화면을 사용하였을 때 해당 엑티비티가 onDestroy 되고 onCreate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하나 FragmentStatePagerAdapter를 사용하게 되면 생명주기상 명확하지 않아 Fragment가 null이 됩니다. 아래는 Fragment가 null이 되는 소스입니다. internal inner class MyPagerAdapter(fm: FragmentManager) : FragmentStatePagerAdapter..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를 제작 후 arr 파일을 만든 후 배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arr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사실 자꾸 까먹어서 기록 1. Android Studio 우측에 Gradle 선택 => 코끼리모양 선택 2. gradle assembleRelease analyzeReleaseDependencies 메뉴 선택 3. build\outputs\aar\xxxx-release.aar 파일이 생성됩니다. 4. 해당 파일을 배포 서버 경로에 올려두고 maven-metadata.xml, xxx-버전.pom 문서 파일을 생성하시거나 수정하시면 되겠습니다. 배포하기 매우 쉽습니다. 나중에 자동 배포 시스템도 만들어야겠네요.
기존 사용하는 자바의 Timer와 Handler 아래와 같이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타이머가 4초 후에 4초 단위로 실행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Java Timer TimerTask mTimerTask = new TimerTask() { @Override public void run() { mHandler.sendEmptyMessage(0); } }; mTimer = new Timer(); mTimer.schedule(mTimerTask, 4000, 4000); Java Handler final Handler mHandler = new Handler() { @Override public void handleMessage(Message msg) { if (msg.what == 0) { if (!isFinis..

구글에서 Kotlin 언어를 먼저 보여주고 있고 확실히 밀고 있는 언어인데 회사에서는 돌아만 가면 되는 거 아냐? 하며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에 있어서 개발언어는 도구일뿐~! 그러나 안드로이드 개발자로서 kotlin를 모른다는 건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맞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정말 써보면 편함을 느낄 수 있었고 대기업에서 기존 프로젝트를 전환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코틀린으로 진행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회사에 안드로이드 자바 프로젝트를 코틀린 언어로 전환을 강행하였습니다. 회사에서 같이 일하는 안드로이드 일부 개발자들은 조금 부담을 느끼긴 했지만, 조금 익숙해지니 다들 코틀린의 매력에 빠져들었습니다.(흐뭇) 사실 운영하고 있는 앱들을 잘 모르는 코틀린 언어로 바꾸려고 처음 시도했을 때만 해도..
코틀린 소스에 있어서 가장 많은 시너지 효과를 볼수 있었던것은 jetbrains의 Anko라이브러리였습니다. 코틀린 + Anko를 사용하게됨으로써 소스를 매우 많이 단축 시킬 수 있었습니다. 사용법과 예제를 통해 보겠습니다. 1. Anko라이브러리 사용 등록 build.gradle :project buildscript{ ... ext.anko_version = '0.10.8' ... } buid.gradle :app dependencies { ... implementation "org.jetbrains.anko:anko:$anko_version" ... } - Anko Commons : 인텐트, 다이얼로그, 로그 등을 편리하게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 Anko Layouts : 안드로이드 레이아웃을 코드로..